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부산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특별연주회‘2025 솔로이스트들의 축제’

-부산지역 청년예술인들이 꾸미는 축제의 장

- 2025. 5. 13.(화) 19:3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지휘자 백승현)이 매년 5월마다 진행하는, 지역 청년 예술인들이 함께 꾸미는 ‘2025 솔로이스트들의 축제’를 오는 13일(화)에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연다.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기회가 드문 부산지역에서 1년에 한번 찾아오는 기회를 잡기위해 매해 많은 음악인들이 이 축제에 도전하고 있으며, 올해 역시 치열한 오디션을 거쳐 총 6명의 연주자들이 무대에 오른다. 피아노, 바이올린,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젊은 재원들이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과 호흡을 맞추며 실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무대에 오를 작품은 각 악기 전공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유명 협주곡들로 구성됐다. 청중에게는 익숙하고 편안한 클래식 명곡을, 연주자에게는 성장과 도전의 무대를 제공하는 이번 공연은 지역 클래식 음악계의 미래를 이끌어간 인재들을 조명하는 소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베토벤의 피아노협주곡 제3번은 베토벤의 열정과 혁신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협주곡의 한계를 넘어 교향곡적 스케일과 기교가 융합된 걸작이라고 볼 수 있다. 2017년 달성 100대 피아노에 출연, 2003년 김해국제음악제 피아노콩쿠르 최우수상 및 국회의원상을 수상한 오찬민이 연주한다.

 

프로코피예프의 5개의 피아노 협주곡 중 제 2번은 원본이 소실되어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작곡하고 난 후에 다시 재구성해서 협주곡 4번이라 불러도 될 만큼 성숙한 작곡 기법이 녹아 있다. 러시아 프렌치 윈터(French Winter) 국제콩쿠르 2위, 부산음악협회 전국학생음악경연대회 1위 수상자 서은우가 들려준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둘째 아들인 C.P.E. 바흐의 플루트 협주곡 D단조는 그가 작곡한 6개의 플루트협주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마산음협 전국음악콩쿠르 대상 및 국회의원상, 전국학생음악경연대회 최우수상을 수상자 권예은이 연주를 맡는다.

 

12세의 어린 나이에 만하임 궁정 오케스트라의 오보이스트로 천재성을 인정받은 레브룬의 오보에 협주곡 제1번 D단조는 감성적이고 드라마틱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곡이다. 글로빌 전국음악콩쿨 금상을 수상한 바 있는 윤지한이 감성을 살린 선율로 관객을 만난다.

 

크루셀의 클라리넷 협주곡 제1번은 그의 초기 작품 중 하나이고, 클라리넷 협주곡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뛰어난 작품성에도 불구하고 모차르트의 그늘에 가려진 명곡으로, 부산음악협회콩쿠르와 부산음악교육연구회 콩쿠르에서 3년 연속 입상한 신호연이 연주한다.

 

생상스의 바이올린협주곡 제3번 B단조는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으며, 동료 작곡가이자 거장인 사라사테에게 헌정했고, 풍부한 선율과 화려한 기교, 고전적 구조에 기반한 구성력까지 겸비한 명곡이다. 마르떼 심포니 오케스트라(Marte Symphony Orchestra) 수석단원을 역임한 이해창의 연주로 감상할 수 있다.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1994년 창단 이래 꾸준하게 정기연주회와 특별연주회, 찾아가는 예술단 등으로 시민들과 소통해 왔다. 아울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예술계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을 양성하고, 청소년들에게 클래식 음악의 꿈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티켓은 전석 5천원으로, 공연문의는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051-607-3124, hwanycap@bscc.or.kr)을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