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8일, 강원도 인제 자작나무숲 방문객의 가명정보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작나무숲이 지역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이 2022년 방문객의 소비 지출과 거주지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제 자작나무숲 방문객 수는 2021년 대비 22%, 지역 내 지출 규모는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점 소비가 최대 35%까지 증가했으며, 늘어난 지출은 일시적이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 유지돼 지역경제에 안정적인 효과를 준 것으로 확인됐다.
방문객 대부분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50~60대로, 여가와 자기관리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이었다. 특히 여름철에 방문한 중장년층은 음식점 소비 비율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속초·고성 등 동해 인근 지역에서도 소비가 활발했다. 이 그룹에 속한 방문객은 여가 활동지로 자연휴양림과 동물원 등 자연과 관련된 여가 공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찾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가명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해 방문객의 소비 특성과 지역경제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이번 성과는 잘 가꾼 숲을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활용하는 산림휴먼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이용 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이수광 박사는 “이번 연구는 가명정보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숲 여행이 단순한 경관 감상에 그치지 않고 지역 먹거리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활동임이 수치적으로 확인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숲 여행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