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종철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양파의 가격 급등락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급관리 협의체를 가동하고 나섰다.
전북자치도는 27일, NH농협 전북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제1차 전북 양파 수급관리 협의회’를 개최하고, 도내 주요 주산지 시군과 농협, 생산자단체, 자조금협회 등 3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양파 수급 안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양파 수급관리 협의회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과'밭작물 주산지 수급 거버넌스 운영'시행 지침에 따라 지난해 행정·유통·생산자·전문가 등 각 분야 대표들로 구성된 자율적 수급조절 체계 기구로서, 생산자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노지채소인 양파는 작황과 재배면적에 따라 생산량이 급변하고, 그에 따른 가격 변동성도 심한 품목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해 생산자 주도의 ‘적정 재배면적 조절’과 ‘기계화 확대’, ‘생육관리 체계화’를 주요 사업방향으로 설정했다.
도는 이날 회의에서 논의된 의견을 토대로 수급조절 지침(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그 적정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광역단위 수급관리 협의회를 통해 재배면적 조절, 유통안정 대책, 가격 급변 대응 시나리오 등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기계화 확대는 농촌 고령화 해법과도 맞물려 도가 강하게 추진 중인 분야로, 협의회를 통해 구체적 확대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정재관 전북자치도 스마트농산과장은 “양파와 같은 노지채소는 수급조절이 늦어지면 가격이 급등하거나 폭락해 농가에 큰 타격을 준다”며, “생산자 중심의 협의체를 통해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수급관리 체계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