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5.4℃
  • 구름많음강릉 13.3℃
  • 맑음서울 14.4℃
  • 맑음대전 15.3℃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조금울산 16.2℃
  • 맑음광주 16.1℃
  • 박무부산 15.9℃
  • 맑음고창 14.8℃
  • 구름조금제주 16.3℃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14.6℃
  • 맑음금산 15.2℃
  • 맑음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7.9℃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경찰

산림청, 산림을 통한 국제감축사업의 효과적 방향을 제시하다

국립산림과학원, 라오스와 준국가수준 REDD+ 추진을 위한 방안 모색

 

[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8월 29일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REDD+(국외산림탄소배출감축사업) 국제감축 및 민간참여 활성화 심포지엄'에서 한국-라오스 REDD+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REDD+ 사업이란 개발도상국의 산림전용과 황폐화를 방지하고 산림의 탄소흡수원 기능을 강화하여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활동이다. 한-라 REDD+ 국제감축사업은 라오스 북부 퐁살리 주(州)의 산림 약 100만ha를 대상으로 추진될 예정이며, 양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라오스의 지속가능한 발전 활동을 포함한다.

 

산림청이 주최한 본 심포지엄에는 라오스 농림부 산림국장 등 20여 명의 라오스 산림 당국 관계자와 우리나라의 REDD+ 관련 정부기관, 학계, 기업 등 12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특히 약 70여 개의 기업 및 단체가 참석하여, REDD+ 대한 국내 민간부문의 큰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발표를 맡은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김래현 연구관은 ‘산림분야 기후변화 국제동향’이라는 주제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REDD+ 국제 협상 동향과 시사점을 소개했다.

 

김래현 연구관은 “감축 결과물의 이중 사용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준국가수준의 REDD+ 사업 이행이 필수불가결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감축 실적을 직접 검증하는 체계인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을 준용하여 사업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전했다.